J. 로버트 오펜하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20세기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로, 맨해튼 계획을 이끌어 원자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904년 뉴욕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연구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이론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고, 중성자별과 블랙홀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소장으로 핵무기 개발을 지휘했으며, 트리니티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전후에는 원자력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핵무기 국제 관리와 기초 과학 연구를 지지했으나, 수소폭탄 개발 반대와 과거 좌익 활동으로 인해 공직에서 추방되었다. 이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과학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고, 1963년 엔리코 페르미 상을 수상했다. 1967년 인후암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삶은 영화, 연극, 오페라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2022년에는 그의 공직 추방이 무효화되어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버트 오펜하이머 - 오펜하이머 (영화)
오펜하이머는 크리스토퍼 놀란이 감독하고 킬리언 머피가 주연을 맡은 2023년 개봉한 전기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원자폭탄 개발을 주도한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삶을 다루며 작품성과 연출, 연기 등에서 호평을 받았으나, 원자폭탄 피해 묘사 부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로버트 오펜하이머 - 바벤하이머
바벤하이머는 2023년 영화 《바비》와 《오펜하이머》의 동시 개봉으로 인해 발생한 현상으로, 상반된 분위기의 두 영화가 같은 날 개봉하여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고, 동시 관람을 권장하는 분위기 속에서 흥행에 성공하며 영화계에 파생 현상을 낳았다. - 핵무기공학자 - 레슬리 그로브스
레슬리 그로브스는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펜타곤 건설을 지휘하고 맨해튼 계획의 책임자를 맡아 원자 폭탄 개발을 총괄했다. - 핵무기공학자 - 니콜라이 돌레잘
니콜라이 돌레잘은 소련의 원자력 공학자로, 흑연 감속 원자로 설계와 가압 경수로 개념 개척을 통해 소련 원자력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옵닌스크 및 벨로야르스크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주도하고 레닌상 등 다양한 훈장과 상을 수여받았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이름이 명명되었다. - 매카시즘 피해자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매카시즘 피해자 - 첸쉐썬
첸쉐썬은 중국 미사일 및 우주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불리는 과학자이자 엔지니어로, 미국에서 추방 후 중국으로 귀국하여 미사일 및 위성 개발을 주도하며 중국의 국방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톈안먼 사건 지지, 유사과학 옹호 등 논란도 있다.
J. 로버트 오펜하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율리우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
출생일 | 1904년 4월 22일 |
출생지 | 뉴욕 시, 미국 |
사망일 | 1967년 2월 18일 |
사망지 | 프린스턴, 뉴저지, 미국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학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 괴팅겐 대학교 (박사) |
배우자 | 캐서린 푸닝 (1940년 결혼) |
형제자매 | 프랭크 오펜하이머 (동생) |
수상 | 공로훈장 (1946년) 엔리코 페르미상 (1963년) |
분야 | 이론 물리학 |
소속 기관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Zur Quantentheorie kontinuierlicher Spektren |
박사 학위 논문 년도 | 1927년 |
박사 학위 논문 URL | Zur Quantentheorie kontinuierlicher Spektren |
박사 지도교수 | 막스 보른 |
박사 제자 | 데이비드 봄 로버트 크리스티 시드니 단코프 레슬리 폴디 스탠리 프랭클 윌리스 램 해럴드 루이스 필립 모리슨 아놀드 노드식 버나드 피터스 멜바 필립스 하틀랜드 스나이더 조지 볼코프 조셉 와인버그 지그프리트 보우트후이젠 |
![]() | |
업적 | |
주요 업적 | 최초의 핵무기 개발 보른-오펜하이머 근사 톨먼-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톨먼-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 오펜하이머-스나이더 모델 오펜하이머-필립스 과정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J. Robert Oppenheimer |
기타 정보 | |
참고 | 물리학자 프랭크 오펜하이머의 형 |
2. 생애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1904년 4월 22일 뉴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줄리어스 오펜하이머는 독일 출신 이민자로 섬유 수입 사업으로 성공했고, 어머니 엘라 프리드먼은 화가였다.[1][6][4] 동생 프랭크 오펜하이머 역시 물리학자가 되었다.[5]
하버드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1925년 최우등으로 졸업한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연구했으나 실험에 어려움을 겪었다.[13][14] 이후 괴팅겐 대학교로 옮겨 막스 보른의 지도를 받아 1927년 23세의 나이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2][24][25] 그는 보른-오펜하이머 근사 등 여러 편의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27]
2. 1. 유년기 및 청소년기 (1904년 ~ 1921년)
1904년 4월 22일,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뉴욕의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 줄리어스 오펜하이머는 독일 출신 이민자로, 섬유 수입 사업으로 성공했다.[6] 어머니 엘라 프리드먼은 화가였다.[4] 동생 프랭크 오펜하이머도 물리학자가 되었다.[5]어린 시절 오펜하이머는 광물 수집, 물리학, 화학, 문학에 관심을 가졌다. 윤리 문화 필드스톤 학교에서 뛰어난 학업 성적을 보였으나, 내성적인 성격으로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했다.[8] 14세 때 여름 캠프에서 친구들의 오해로 발가벗겨진 채 냉동실에 갇히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 2. 대학 생활 및 유럽 유학 (1922년 ~ 1929년)
1922년, 오펜하이머는 18세의 나이로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했다.[13] 화학을 전공했지만, 역사, 문학, 철학, 수학도 함께 공부했다. 그는 질병으로 늦어진 입학을 만회하기 위해 매 학기 6과목을 수강했으며, 학부 명예 협회인 피 베타 카파에 가입했다.[13] 독립적인 연구를 통해 물리학 대학원 과정을 이수할 수 있게 되어 기초 과목을 건너뛰고 심화 과목을 수강했다. 퍼시 윌리엄스 브리지먼의 열역학 강의는 그에게 실험 물리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3] 1925년, 오펜하이머는 3년 만에 학사 학위를 ''최우등''으로 받고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했다.[13]1924년, 케임브리지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 입학 허가를 받은 후, 어니스트 러더퍼드에게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일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14] 그러나 브리지먼의 추천서에는 오펜하이머의 실험 기술이 서투르기 때문에 이론 물리학이 더 적합할 것이라는 내용이 있었다.[14] 러더퍼드는 이 편지에 감명을 받지 않았지만, 오펜하이머는 케임브리지로 갔다.[14] 결국 J. J. 톰슨은 그에게 기본적인 실험 과정을 이수하는 조건으로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일하는 것을 허락했다.[15]
오펜하이머는 케임브리지에서 힘든 시간을 보냈고, 친구에게 실험실 작업이 지루하고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여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고 있다는 편지를 썼다.[16] 그는 지도 교수였던 패트릭 블랙켓과 갈등을 겪었다. 친구 프랜시스 퍼거슨에 따르면, 오펜하이머는 블랙켓의 책상에 독이 든 사과를 놓았다고 고백했지만, 부모님의 설득으로 퇴학을 면했다.[16][17] 오펜하이머는 런던 할리 스트리트의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받기도 했다.[17]
오펜하이머는 키가 크고 마른 줄담배 흡연자였으며,[18] 집중할 때는 식사를 거르기도 했다. 많은 친구들은 그가 자기 파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퍼거슨은 오펜하이머가 우울증에 빠져 있을 때, 여자 친구 프랜시스 킬리에게 청혼했다는 이야기를 꺼내 그의 주의를 환기시키려 했지만, 오펜하이머는 그에게 달려들어 목을 조르려고 했다.[19] 오펜하이머는 평생 우울증에 시달렸으며,[19][20] 형에게 "나는 친구보다 물리학이 더 필요해"라고 말한 적도 있다.[21]
1926년, 오펜하이머는 막스 보른에게 배우기 위해 케임브리지를 떠나 괴팅겐 대학교로 갔다.[22] 괴팅겐은 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오펜하이머는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파스쿠알 요르단, 볼프강 파울리, 폴 디랙, 엔리코 페르미, 에드워드 텔러 등 훗날 큰 성공을 거둔 과학자들과 교류했다.[22] 그는 토론에 적극적이었지만, 때로는 지나치게 몰두하여 토론을 독점하기도 했다.[22] 마리아 괴퍼트는 다른 학생들과 함께 오펜하이머를 조용히 시키지 않으면 수업을 보이콧하겠다는 청원서를 보른에게 제출했고, 보른은 이를 오펜하이머가 볼 수 있도록 책상 위에 두어 효과를 보았다.[23]
1927년 3월, 오펜하이머는 23세의 나이로 보른의 지도 아래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4][25] 구술 시험 후, 시험관이었던 제임스 프랭크는 "다행히 끝났군. 그는 나를 질문하려던 참이었어."라고 말했다고 한다.[26] 오펜하이머는 유럽에 있는 동안 1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중에는 새로운 양자 역학 분야에 대한 중요한 기여가 담긴 논문도 있었다. 그와 보른은 분자의 수학적 처리에서 핵 운동과 전자 운동을 분리하여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핵 운동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보른-오펜하이머 근사에 대한 유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그의 논문 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논문이다.[27]
3. 경력
오펜하이머는 1929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에서 동시에 교수직을 제안받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30] 초기에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점차 교육자로서 자질을 키워나갔다.[30] 그는 이론 천문학, 핵물리학, 분광학, 양자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으며,[41] 특히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존재를 예측하는 선구적인 연구를 발표했다.[54]
1941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원자폭탄 개발을 위한 긴급 프로그램을 승인했고, 오펜하이머는 1942년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고속 중성자 계산 작업을 맡았다.[98] 레슬리 R. 그로브스 주니어 준장은 그의 과학적 이해를 높이 평가하여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소장으로 임명했다.[101] 오펜하이머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에서 뛰어난 리더십과 과학적 이해력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104] 1945년 7월 16일, 뉴멕시코주 앨러머고르도 근처에서 세계 최초의 핵실험(트리니티 핵실험)이 성공했다.
전후 오펜하이머는 원자력위원회와 일반자문위원회(GAC)에 참여했다.[308] 1947년에는 고등연구소 소장직을 맡아 당대 최고의 지성인들을 모아 학제 간 연구를 장려했다. 1954년, 과거 공산주의 활동과 수소폭탄 개발 반대를 이유로 보안 인가 심사를 받았고, 결국 보안 인가가 취소되었다. 공직에서 추방된 후에도 강연과 저술 활동을 계속하며 과학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고, 1963년에는 엔리코 페르미 상을 수상하며 부분적인 명예 회복을 이루었다.
3. 1. 교수 생활 및 연구 활동 (1929년 ~ 194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에서 동시에 교수직을 제안받은 오펜하이머는 1929년 25세의 나이로 버클리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점차 교육자로서의 자질을 키워나갔다.[30] 학생들은 그의 카리스마에 매료되어 그의 말투와 몸짓까지 따라 할 정도였다.[37] 그는 1m 80cm가 넘는 키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59kg을 넘지 않는 가냘픈 체형이었다고 한다.오펜하이머는 산스크리트어를 배워 인도의 철학 서적을 탐독했으며, 특히 바가바드 기타에 심취했다.[31] 그는 어니스트 로렌스와 긴밀히 협력하며 사이클로트론 연구를 도왔고, 이는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39] 학생들은 "옷피(오펜하이머의 애칭)라면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옷피는 이렇게 말했다." 등의 말을 자주 사용하며 그를 따랐다.
1930년대 중반부터 오펜하이머는 정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막스 보른의 추방에 충격을 받은 그는 반나치즘 및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했다.[38] 그의 약혼녀 진 태트록과 아내 캐서린 해리슨(애칭 키티)이 공산당원이었던 점은 훗날 매카시즘 광풍 속에서 그를 궁지로 몰아넣는 요인이 되었다.[60]
오펜하이머는 이론 천문학, 핵물리학, 분광학, 양자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41] 특히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존재를 예측하는 선구적인 연구를 발표했다.[54] 그의 연구는 중성자, 메손 등의 후속 발견을 예측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1]
1931년, 그는 제자인 하비 홀(Harvey Hall)과 함께 "광전 효과의 상대론적 이론"이라는 논문을 공동 집필했다.[47] 이 논문에서 그는 폴 디랙(Paul Dirac)이 수소 원자의 두 에너지 준위가 같은 에너지를 가진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훗날 그의 박사 과정 학생인 윌리스 램(Willis Lamb)은 이것이 램 시프트로 알려지게 된 현상의 결과임을 밝혀냈고, 램은 195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41]
오펜하이머는 멜바 필립스(Melba Phillips)와 함께 중양자에 의한 폭격 하에서 인공 방사능 계산에 대해 연구했다. 1935년 오펜하이머와 필립스는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오펜하이머-필립스 과정)을 개발했다. 이 이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48]
1930년대 초, 오펜하이머는 양전자의 존재를 예측하는 논문을 썼다. 2년 후, 칼 데이비드 앤더슨(Carl David Anderson)은 양전자를 발견했고, 193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50]
1930년대 후반, 오펜하이머는 리처드 톨먼(Richard Tolman)과의 우정을 통해 천체물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일련의 논문을 발표했다. "거대한 중성자핵에 관하여"[52]는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로 알려진 별의 질량 한계가 존재하며, 이 한계를 넘어서는 별은 중성자별로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중력 붕괴를 겪을 것임을 보여주었다. 1939년, 오펜하이머와 하틀랜드 스나이더(Hartland Snyder)는 "지속적인 중력 수축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했는데,[53] 이 논문은 블랙홀의 존재를 예측했다.
3. 2. 맨해튼 계획과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1942년 ~ 1945년)
1941년 10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원자폭탄 개발을 위한 긴급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1942년, 오펜하이머는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고속 중성자 계산 작업을 맡았다.[98] 그는 '급속 파열 조정자'라는 직함을 받았는데, 이는 원자폭탄에서 고속 중성자 연쇄 반응의 전파를 의미하는 전문 용어였다.[98]
1942년 6월, 미 육군은 원자폭탄 프로젝트를 담당하기 위해 맨해튼 공병구를 설립했다.[99] 9월, 레슬리 R. 그로브스 주니어 준장이 이 프로젝트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다.[100] 그로브스는 오펜하이머의 좌익 성향과 대규모 프로젝트 관리 경험 부족에도 불구하고, 그의 뛰어난 과학적 이해와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높이 평가하여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소장으로 임명했다.[101] 라비는 오펜하이머의 임명을 "그로브스 장군의 진정한 천재적인 수완"이라고 평가했다.[101]
오펜하이머는 뉴멕시코에 연구소 위치를 선정하고, 1942년 11월 16일 그로브스와 함께 현장을 방문했다. 로스앨러모스 연구소는 로스앨러모스 목장 학교 부지에 건설되었고, 오펜하이머는 당시 최고의 물리학자들을 모아 '명사들'이라고 불렀다.[102]
로스앨러모스는 처음에 군사 연구소로 계획되었으나, 과학자들의 반대로 캘리포니아 대학교가 전쟁부와 계약하여 연구소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03] 오펜하이머는 대규모 프로젝트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뛰어난 리더십과 과학적 이해력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104] 빅터 바이스코프는 오펜하이머가 모든 연구의 핵심을 파악하고, 지적, 육체적으로 중요한 순간에 항상 참여하여 연구원들에게 열정과 도전 정신을 불어넣었다고 회상했다.[104]

1943년, 개발 노력은 플루토늄 총형 핵분열 무기인 "씬맨"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원자로에서 생산된 플루토늄은 플루토늄-240 농도가 높아 총형 무기에 부적합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06] 1944년 7월, 오펜하이머는 내폭형 무기로 방향을 전환하고, 1945년 2월 팻맨으로 명명된 "크리스티 장치" 설계를 확정했다.[111]
1945년 5월, 핵에너지 사용에 관한 정책 자문을 위한 임시 위원회가 설치되었고, 오펜하이머는 과학 패널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원자폭탄의 군사적, 정치적 영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112]

1945년 7월 16일, 뉴멕시코주 앨러머고르도 근처에서 세계 최초의 핵실험(트리니티 핵실험)이 성공했다. 오펜하이머는 실험 당시 바가바드 기타의 구절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를 인용했다.[119]
오펜하이머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에 찬성하며, 전쟁 종식에 기여했다고 믿었다.[126]
3. 3. 전후 활동과 공직 추방 (1945년 ~ 1967년)
1945년 10월, 오펜하이머는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을 처음 만난 자리에서 "대통령님, 저는 제 손이 피로 물든 것 같습니다"라고 말하며 핵무기 개발에 대한 죄책감을 드러냈다.[308] 트루먼은 이에 분노하여 그를 "울보"라고 비난하며, 이후 평생 그를 만나지 않았다고 한다.1945년 10월 16일, 오펜하이머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소장직을 사임하면서 "앞으로 전쟁에서 원자폭탄이 사용될 경우 사람들은 로스앨러모스의 이름을 저주하게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사임 후, 그는 연구에 전념하고 싶었지만, 정부로부터 원자력에 관한 자문을 자주 요청받았다. 오펜하이머는 원자폭탄의 국제 관리를 지지했다. 한 국가가 관리하면 다른 국가들이 경쟁 의식을 느껴 원자폭탄 개발이 무한정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946년, 원자력위원회(AEC)와 일반자문위원회(GAC)가 설립되었고, 오펜하이머는 GAC에 참여했다.
1947년, 오펜하이머는 루이스 스트라우스의 제안으로 고등연구소 소장직을 맡았다. 이 직책은 연봉 2만 달러와 소장 관사 무료 제공 등의 혜택이 있었다. 그는 당대 최고의 지성인들을 모아 학제 간 연구를 장려했다. 프리먼 다이슨 등 저명한 과학자들의 연구를 지휘하고 격려했으며, 양첸닝과 리정다오는 파리티 비보존 발견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T. S. 엘리엇과 조지 케넌 같은 인문학 학자들을 위한 임시 회원 자격도 도입했다. 그러나 일부 수학 교수진은 연구소를 순수 과학 연구의 요새로 유지하길 원해 이러한 활동에 반감을 가졌다.
1949년 8월 29일, 소련이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자 미국은 큰 충격을 받았다. 1949년 10월 29일부터 30일까지 GAC에서 "슈퍼"라고 불리던 수소폭탄 개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오펜하이머는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하며 다음과 같은 이유를 제시했다.
- 수소폭탄 개발은 7년 동안 진전이 없었고, 구조나 개발 비용이 알려져 있지 않다.
- 너무 거대해서 운반이 어려울 것이다.
- 소련과의 핵무기 개발 경쟁을 가속화할 것이다.
- 이미 히로시마 원폭보다 40배 강력한 원자폭탄을 미국이 보유하고 있어 수소폭탄 개발의 의의가 낮다.
- 도시 주민을 멸절시킬 가능성이 있다.
GAC 위원 전원이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했지만, 트루먼은 1950년 1월 31일 수소폭탄 개발을 결정했다.
1954년 4월~5월, 오펜하이머는 과거 공산주의 활동과 수소폭탄 개발 반대를 이유로 보안 인가 심사를 받았다. 이 청문회에서 에드워드 텔러는 오펜하이머에게 불리한 증언을 했다. 결국 오펜하이머는 보안 인가가 취소되었고, 이는 과학계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 많은 과학자들이 그를 매카시즘의 희생자로 여겼다.
공직에서 추방된 후에도 오펜하이머는 강연과 저술 활동을 계속하며 과학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1963년에는 엔리코 페르미 상을 수상하며 부분적인 명예 회복을 이루었다.
4. 사망
담배를 계속 피웠던 오펜하이머는 1965년 말 인후암 진단을 받았다.[325] 수술을 받았으나 효과가 없었고, 1966년 말에는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도 받았으나 역시 효과가 없었다. 1967년 2월 18일, 뉴저지주 프린스턴 자택에서 62세의 나이로 잠을 자던 중 사망했다.[325] 일주일 후 프린스턴 대학교 알렉산더 홀에서 추모식이 열렸으며, 베테, 그로브스, 케넌, 릴리엔탈, 라비, 스미스, 위그너 등 과학, 정치, 군사 관계자 600명이 참석했다.[326][327] 아서 M. 슐레진저 주니어, 소설가 존 오하라, 뉴욕시립발레단 감독 조지 발란신을 비롯해 그의 동생 프랭크와 가족들도 참석했다. 베테, 케넌, 스미스는 간략한 추도사를 낭독했다.[327] 오펜하이머의 시신은 화장되었고, 유골은 항아리에 담겨 키티가 세인트 존 해변 집이 보이는 바다에 뿌렸다.[328]
5. 유산 및 평가
오펜하이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 중 한 명이자, 미국 이론 물리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맨해튼 계획을 성공으로 이끈 그의 리더십과 과학적 업적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투하 이후, 맨해튼 계획이 공개되자 오펜하이머는 "원자폭탄의 아버지"로 불리며 과학계의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고, ''라이프''와 ''타임''지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85] 그는 새로운 유형의 기술관료적 권력의 상징이 되었다.[85]
그러나 핵무기 개발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복잡한 성격, 정치적 견해는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그는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 핵무기의 위험성, 냉전 시대의 정치적 갈등을 상징하는 인물로 기억된다. 1954년, 오펜하이머는 과거 공산주의 활동 연루 의혹과 수소폭탄 개발 반대 입장 등으로 인해 보안 인가가 취소되는 시련을 겪었다.
이후 오펜하이머는 과학 연구와 강연 활동을 계속하며 과학의 사회적 역할과 핵무기 문제에 대한 고민을 이어갔다. 세계 예술 과학 아카데미 설립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1950년대의 핵무기 반대 운동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244]
2022년, 미국 에너지부는 1954년 오펜하이머의 보안 인가 취소를 무효화하며 그의 명예를 완전히 회복시켰다.[229]
오펜하이머는 과학자로서 미국 현대 이론 물리학의 창시자이자 뛰어난 연구원, 매력적인 교사로 기억된다. 베테는 "다른 어떤 사람보다도" 그가 "미국 이론 물리학을 유럽의 지방 부속물에서 세계적인 리더십으로 끌어올리는 데 책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298] 그의 과학적 관심은 종종 급격하게 바뀌었기 때문에, 그는 어떤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도 충분히 오랫동안 연구하지 않았고 노벨상을 받을 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299] 블랙홀 이론에 기여한 그의 연구는 그가 나중의 천체 물리학자들에 의해 결실을 볼 수 있을 만큼 오래 살았더라면 상을 받았을지도 모른다.[92]
군사 및 공공 정책 고문으로서 오펜하이머는 과학과 군대 간의 상호 작용에서 기술 관료제로의 전환과 "거대 과학"의 출현을 이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과학자들은 전례 없는 수준으로 군사 연구에 참여했고, 그 결과 레이더, 근접 신관 및 작전 연구와 같은 강력한 도구가 탄생했다. 교양 있고 지적인 이론 물리학자이자 엄격한 군사 조직가가 된 오펜하이머는 과학자들이 "구름 속에 머리를 박고" 원자핵의 구성과 같은 난해한 주제에 대한 지식이 "현실 세계"에 적용될 수 없다는 생각에서 벗어난 변화를 상징했다.[302]
오펜하이머의 삶과 업적은 다양한 문화 작품에서 다뤄졌다. 카이 버드와 마틴 J. 셔윈의 전기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2005)는 퓰리처상 전기 부문을 수상했고,[286]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오펜하이머''(2023)는 이 책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293][294]
6. 주요 저서
- Science and the Common Understanding|과학과 일반적 이해영어, 1954년, 사이먼 앤 슈스터 출판.
- The Open Mind|열린 마음영어, 1955년, 사이먼 앤 슈스터 출판.
- The Flying Trapeze: Three Crises for Physicists|날아다니는 그네: 물리학자들을 위한 세 가지 위기영어, 1964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출판.
- Oppenheimer|오펜하이머영어, 1969년, 스크라이브너 출판. (사후 출판)
- Robert Oppenheimer, Letters and Recollections|로버트 오펜하이머, 편지와 회상영어, 1980년,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출판. (사후 출판)
- Uncommon Sense|비범한 상식영어, 1984년, 비르크하우저 보스턴 출판. (사후 출판)
- Atom and Void: Essays on Science and Community|원자와 공허: 과학과 공동체에 관한 에세이영어, 1989년,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출판. (사후 출판)
7. 관련 작품
- 스팅의 싱글 "Russians" (1985년)에는 오펜하이머의 이름이 나온다.[318]
- 스팅은 2021년 앨범 『더 브리지』의 수록곡 "더 북 오브 넘버스"에서도 오펜하이머를 주제로 다루었다.[319]
- 2005년 미국의 작곡가 존 애덤스는 오펜하이머를 주인공으로 한 오페라 "닥터 아톰"을 상연했다.
- 1969년 브로드웨이 연극 《In the Matter of J. Robert Oppenheimer》에서는 조셉 와이즈먼이 오펜하이머를 연기했다. 와이즈먼은 이 작품으로 "드라마 데스크 어워드 남우주연상 (연극)"을 수상했다.[323]
- 1980년 BBC와 WGBH의 드라마 시리즈 《오펜하이머》(Oppenheimer)에서는 샘 워터스턴이 오펜하이머 역을 맡았다.
- 1989년 영화 《섀도우 메이커스》(Fat Man and Little Boy)에서는 드와이트 슐츠가 오펜하이머 역을 연기했다. 한국에서는 개봉되지 않았다.
- 1989년 다큐멘터리 드라마/텔레비전 영화 《데이 원: 충격, 악몽의 선택》(Day One)에서는 데이비드 스트래선이 오펜하이머 역을 맡았다. 감독은 조셉 서전트이다.
- 2009년 다큐멘터리 시리즈 《American Experiment》의 "Trials of J. Robert Oppenheimer" 재연 드라마 파트에서 데이비드 스트래선이 두 번째로 오펜하이머 역을 맡았다.
- 1947년작 세미 다큐멘터리 영화 《처음이냐 끝이냐》(The Beginning or the End)에서는 휴 켈러닝이 오펜하이머를 연기했다.[322]
- 1980년 텔레비전 영화 《에놀라 게이: 사람들, 임무, 원자폭탄》(Enola Gay: The Men, the Mission, the Atomic Bomb)에서는 로버트 워든이 오펜하이머 역을 연기했다.
- 1995년 한·미·캐나다 합작 드라마 《히로시마 원폭 투하까지의 4개월》에서는 제프리 드먼이 오펜하이머 역을 연기했다.
- 2007년 BBC 다큐멘터리 《20세기 “핵”의 내막》에서는 조 조운스가 오펜하이머 역을 연기했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2023년 미국 영화 《오펜하이머》는 전 세계적으로 10억 달러에 육박하는 수익을 올렸고, 제96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감독상을 비롯해 출연진과 기술 부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 7개 부문을 수상했다. 한국에서는 미국 개봉 8개월 후, 비터즈 엔드 배급으로 2024년 3월 29일에 개봉되었다.[320][321] 이 영화는 원자폭탄 개발과 후반생의 회한, 루이스 스트로스(미국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의 탄핵을 중심으로 하면서, 암살 의혹이 있는 타틀록의 자살, 트루먼과의 면담 장면도 포함되어 있다.
- 2023년 영화 《오펜하이머》(Oppenheimer)에서는 킬리언 머피가 오펜하이머 역을 연기했다. 머피는 이 역할로 제96회 아카데미상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전기 《오펜하이머: “원폭의 아버지”라 불린 남자의 영광과 비극》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영화 '오펜하이머' 한국 개봉 약 한 달 전인 2월 19일, NHK 종합 '영상의 세기 버터플라이 이펙트'는 후지나가 시게루(藤永茂)를 감수로 하여, 영화에서 직접 묘사하지 않은 히로시마·나가사키의 기록 영상도 활용하여 미국과 독일의 원자폭탄 개발과 전후 오펜하이머의 실상을 그렸다. 여기서는 수소폭탄 개발로 대립했던 텔러가 아니라, 스승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원자력 개발 권위자로 오펜하이머를 대신한 어니스트 로렌스의 질투를 암시했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잡지
J. Robert Oppenheimer's Grandson on What the Movie Gets Right and the One Scene He Would Have Changed
https://time.com/629[...]
2023-07-25
[17]
웹사이트
Oppenheimer and the poisoned apple
https://specialcolle[...]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Special Collections
2023-08-15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Zur Quantentheorie kontinuierlicher Spektren
[25]
논문
[26]
잡지
The Eternal Apprentice
http://content.time.[...]
1948-11-08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웹사이트
The Early Years
http://ohst.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Submitted manuscript
On the Theory of Electrons and Protons
https://authors.libr[...]
2018-11-05
[44]
논문
Three Notes on the Quantum Theory of Aperiodic Effects
1928-01-01
[45]
논문
On the Quantum Theory of the Autoelectric Field Currents
[46]
논문
The Early History of Quantum Tunneling
2002-08-01
[47]
논문
Relativistic Theory of the Photoelectric Effect
[48]
논문
[49]
논문
The quantum theory of the electron
[50]
논문
[51]
논문
On the Stability of Stellar Neutron Cores
[52]
논문
On Massive Neutron Cores
http://www.mpia-hd.m[...]
2014-01-15
[53]
논문
On Continued Gravitational Contraction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잡지
The Brothers
http://www.time.com/[...]
2008-05-22
[63]
웹사이트
FBI file: Katherine Oppenheimer
http://vault.fbi.gov[...]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1944-05-23
[64]
웹사이트
A Life
http://ohst.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8-05-22
[65]
논문
[66]
웹사이트
Chevalier to Oppenheimer, July 23, 1964
http://www.brotherho[...]
Brotherhood of the Bomb: The Tangled Lives and Loyalties of Robert Oppenheimer, Ernest Lawrence, and Edward Teller
2011-02-24
[67]
웹사이트
Excerpts from Barbara Chevalier's unpublished manuscript
http://www.brotherho[...]
Brotherhood of the Bomb: The Tangled Lives and Loyalties of Robert Oppenheimer, Ernest Lawrence, and Edward Teller
2011-02-24
[68]
웹사이트
Excerpts from Gordon Griffith's unpublished memoir
http://www.brotherho[...]
Brotherhood of the Bomb: The Tangled Lives and Loyalties of Robert Oppenheimer, Ernest Lawrence, and Edward Teller
2011-02-24
[69]
논문
[70]
잡지
Regarding Scientist X
http://sciencereview[...]
2001-03-01
[71]
harvnb
1954
[72]
웹사이트
Oppenheimer's Letter of Response on Letter Regarding the Oppenheimer Affair
http://www.nuclearfi[...]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08-05-22
[73]
harvnb
1963
[74]
저널
The Congress for Cultural Freedom, the End of Ideology and the 1955 Milan Conference: 'Defining the Parameters of Discourse'
https://www.jstor.or[...]
2023-12-30
[75]
harvnb
2005
[76]
harvnb
2012
[77]
harvnb
2005
[78]
harvnb
2005
[79]
harvnb
2005
[80]
harvnb
2013
[81]
harvnb
2005
[82]
harvnb
2005
[83]
harvnb
2005
[84]
harvnb
2002
[85]
harvnb
2005
[86]
harvnb
2005
[87]
harvnb
2013
[88]
잡지
The TIME Vault: November 8, 1948
https://time.com/vau[...]
2023-04-25
[89]
harvnb
2005
[90]
harvnb
2000
[91]
harvnb
1969
[92]
harvnb
2006
[93]
harvnb
2000
[94]
harvnb
2005
[95]
harvnb
2006
[96]
harvnb
2005
[97]
웹사이트
Nomination Archive – Robert J. Oppenheimer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20-07-16
[98]
웹사이트
J. Robert Oppenheimer's Interview
https://ahf.nuclearm[...]
2024-03-14
[99]
harvnb
1962
[100]
harvnb
1962
[101]
harvnb
1962
[102]
harvnb
2005
[103]
harvnb
1962
[104]
harvnb
1968a
[105]
harvnb
2005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웹사이트
Nuclear Files: Library: Biographies: Robert Christy
https://web.archive.[...]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11-03-08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학술지
Letters : Bomb in the Head
https://www.lrb.co.u[...]
2022-01-10
[116]
뉴스
How Oppenheimer weighed the odds of an atomic bomb test ending Earth
https://www.washingt[...]
2023-07-22
[117]
잡지
Science: Atomic Footprint
https://web.archive.[...]
2011-03-16
[118]
잡지
J. Robert Oppenheimer
https://books.google[...]
2023-07-31
[119]
비디오
'Now I am become death...'
https://www.atomicar[...]
Atomic Archive
2021-11-19
[120]
웹사이트
Bhagavad Gita XI.12
https://www.gitasupe[...]
Gita Supersite by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2017-09-02
[121]
웹사이트
Chapter 11. The Universal Form, text 12
http://www.asitis.co[...]
2012-10-24
[122]
논문
[123]
웹사이트
Chapter 11. The Universal Form, text 32
http://www.asitis.co[...]
2012-10-24
[124]
논문
[125]
논문
[126]
웹사이트
Debate over how to use the bomb
https://www.osti.gov[...]
U.S. Department of Energy History Office
2023-09-13
[127]
뉴스
The atomic bombings left Oppenheimer shattered: 'I have blood on my hands'
https://www.washingt[...]
2023-07-21
[128]
논문
[129]
잡지
TIME Magazine Cover: Dr. Robert Oppenheimer
https://web.archive.[...]
1948-11-08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웹사이트
Oppenheimer, J. Robert, 1904–1967
http://research.fric[...]
Archives Directory for the History of Collecting
2019-08-24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139]
웹사이트
J. Robert Oppenheimer – Past Director
https://www.ias.edu/[...]
2019-12-09
[140]
논문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논문
[161]
논문
[162]
논문
[163]
논문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논문
[172]
논문
[173]
간행물
Air Defense of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1957-08-00
[174]
논문
[175]
논문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논문
[182]
논문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학술지
Atomic Weapons and American Policy
https://www.foreigna[...]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23-07-21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서적
J Robert Oppenheimer FBI security file
Scholarly Resources
[192]
논문
[193]
논문
[194]
논문
[195]
논문
[196]
논문
[197]
논문
[198]
논문
[199]
논문
[200]
논문
[201]
논문
[202]
논문
[203]
논문
[204]
논문
[205]
논문
[206]
논문
[207]
논문
[208]
논문
[209]
논문
[210]
뉴스
Transcripts Kept Secret for 60 Years Bolster Defense of Oppenheimer's Loyalty
https://www.nytimes.[...]
2015-01-17
[211]
웹사이트
J. Robert Oppenheimer Personnel Hearings Transcripts
https://www.osti.gov[...]
Department of Energy (DOE) OpenNet documents
2015-01-17
[212]
harvard_reference
[213]
웹사이트
Race for the Superbomb: Edward Teller's Testimony in the Oppenheimer Hearings
https://web.archive.[...]
PBS
2023-07-23
[214]
harvard_reference
[215]
간행물
Large and in charge
https://www.scienceh[...]
2018-03-22
[216]
웹사이트
Testimony in the Matter of J. Robert Oppenheimer
https://web.archive.[...]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10-12-11
[217]
harvard_reference
[218]
서적
Atoms for Peace and War
[219]
harvard_reference
[220]
harvard_reference
[221]
harvard_reference
[222]
harvard_reference
[223]
harvard_reference
[224]
harvard_reference
[225]
harvard_reference
[226]
harvard_reference
[227]
harvard_reference
[228]
웹사이트
Was Oppenheimer a Soviet Spy? A Roundtable Discussion
https://www.wilsonce[...]
Wilson Center
2023-11-24
[229]
뉴스
J. Robert Oppenheimer Cleared of 'Black Mark' After 68 Years
https://www.nytimes.[...]
2022-12-16
[230]
웹사이트
Secretary Granholm Statement on DOE Order Vacating 1954 Atomic Energy Commission Decision In the Matter of J. Robert Oppenheimer
https://www.energy.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22-12-16
[231]
뉴스
US voids 1954 revoking of J Robert Oppenheimer's security clearance
https://www.theguard[...]
2022-12-17
[232]
뉴스
Christopher Nolan's Forthcoming 'Oppenheimer' Movie: A Historian's Questions, Worries, and Challenges
https://www.washingt[...]
Washington Decoded
2023-07-11
[233]
뉴스
Oppenheimer's 'Hollywood Ending'
https://www.nysun.co[...]
2023-02-06
[234]
간행물
The Undeserved Rehabilitation of J. Robert Oppenheimer
https://spectator.or[...]
2022-12-20
[235]
뉴스
Text of Oppenheimer Lecture Ending the Columbia Bicentenary
https://timesmachine[...]
1954-12-27
[236]
harvard_reference
[237]
harvard_reference
[238]
뉴스
1954: Nuclear Scientist Speaks
https://www.nytimes.[...]
2004-12-27
[239]
harvard_reference
[240]
뉴스
Oppenheimer Sets Path for Mankind
https://timesmachine[...]
1954-12-27
[241]
웹사이트
Condon lecture at Oregon State College
https://researchwork[...]
Washington, D.C. : Library of Congress
2024-01-24
[242]
웹사이트
J. Robert Oppenheimer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011-03-11
[243]
harvard_reference
[244]
harvard_reference
[245]
harvard_reference
[246]
논문
[247]
논문
[248]
뉴스
Oppenheimer's visit to Japan
https://discover.lan[...]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23-06-23
[249]
웹사이트
In the Sky with Diamonds: Physics in the 1960s
https://www.aip.org/[...]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21-02-26
[250]
Youtube
Niels Bohr Library Dedication Ceremony,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September 26, 1962
[251]
웹사이트
The visiting fireman
https://www.exeter.e[...]
[252]
논문
[253]
논문
J. Robert Oppenheimer 1904–1967
http://books.nap.edu[...]
[254]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http://royalsociety.[...]
Royal Society
[255]
뉴스
Oppenheimer Gets Praise of Johnson with Fermi Prize
https://www.nytimes.[...]
1963-12-02
[256]
잡지
Tales of the Bomb
https://web.archive.[...]
1968-10-04
[257]
논문
[258]
논문
[259]
웹사이트
Johnson Awards AEC's Fermi Award to Oppenheimer, Once Branded Risk
https://timesmachine[...]
1963-11-29
[260]
웹사이트
Remarks Upon Presenting the Fermi Award to Dr. J. Robert Oppenheimer
https://www.preside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963-12-02
[261]
웹사이트
Oppenheimer: The Library's Collection Chronicles His Life
https://blogs.loc.go[...]
Library of Congress
2023-07-20
[262]
뉴스
J. Robert Oppenheimer, Atom Bomb Pioneer, Dies
https://timesmachine[...]
1967-02-19
[263]
논문
[264]
논문
[265]
논문
[266]
뉴스
Mrs. J. Robert Oppenheimer, 62, Nuclear Physicist's Widow, Dies
https://www.nytimes.[...]
1972-10-28
[267]
논문
[268]
논문
[269]
뉴스
Oppenheimer's Legacy on St. John
https://oldtowncrier[...]
2014-07-01
[270]
논문
[271]
웹사이트
Gibney Beach
https://web.archive.[...]
St. John's Beach Guide
[272]
논문
[273]
논문
[274]
논문
[275]
논문
[276]
논문
[277]
논문
[278]
논문
[279]
논문
[280]
웹사이트
Suomessa tehtiin Oppenheimerista kertova tv-elokuva jo vuonna 1967: Löytyy Areenasta
https://www.episodi.[...]
2023-10-09
[281]
웹사이트
Oppenheimerin tapaus
https://elonet.finna[...]
2023-10-10
[282]
뉴스
Playwright Suggests Corrections to Oppenheimer Drama
https://select.nytim[...]
2008-05-23
[283]
뉴스
Theater: Drama of Oppenheimer Case
https://select.nytim[...]
2008-05-23
[284]
뉴스
The character speaks out
https://web.archive.[...]
2008-05-23
[285]
뉴스
Play about him draws protests of Oppenheimer
1964-11-09
[286]
웹사이트
The 2006 Pulitzer Prize Winners – Biography or Autobiography
http://www.pulitzer.[...]
The Pulitzer Prizes
2011-03-05
[287]
뉴스
The Day After Trinity: Oppenheimer & the Atomic Bomb (1980)
https://web.archive.[...]
2009
[288]
웹사이트
Peabody Award Winner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Georgia
2010-12-11
[289]
IMDb
The Day After Trinity
2010-12-11
[290]
뉴스
Oppenheimer five-star review – father of atomic bomb becomes tragic hero at RSC
https://www.theguard[...]
2015-05-01
[291]
웹사이트
Fat Man and Little Boy (1989)
https://www.popmatte[...]
Popmatters
2022-08-01
[292]
웹사이트
Day One (1989 TV Movie)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23-06-17
[293]
웹사이트
Cillian Murphy Confirmed to Star As J. Robert Oppenheimer In Christopher Nolan's Next Film At Universal, Film Will Bow in July 2023
https://deadline.com[...]
Deadline Hollywood
2021-10-08
[294]
뉴스
Oppenheimer wins best picture Oscar as Emma Stone pulls surprise win
https://www.theguard[...]
2024-03-23
[295]
웹사이트
J. Robert Oppenheimer Centennial at Berkeley
http://ohst.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3-12-16
[296]
웹사이트
Reappraising Oppenheimer – Centennial Studies and Reflections
http://ohst.berkeley[...]
Office for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3-12-16
[297]
웹사이트
J. Robert Oppenheimer Papers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2011-03-23
[298]
서적
[299]
서적
[300]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Browser 67085 Oppenheimer (2000 AG42)
http://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1-02-27
[301]
서적
[302]
논문
Disciplining Experts: Scientific Authority and Liberal Democracy in the Oppenheimer Case
[303]
서적
[304]
서적
[305]
MathGenealogy
[306]
Kotobank
2022-12-18
[307]
웹사이트
物理学者が観た「オッペンハイマー」 今に重なる構図と開発者の責任
https://www.asahi.co[...]
2024-05-16
[308]
웹사이트
広島と長崎に原爆投下後、「原爆の父」オッペンハイマーがトルーマン大統領に言ったこと
https://courrier.jp/[...]
クーリエ・ジャポン
2024-02-24
[309]
뉴스
米高官「原爆の父」追放取り消し 68年ぶり「歴史の記録正す」
https://www.47news.j[...]
2022-12-18
[310]
논문
科学時代における文明の将来
https://www.jstage.j[...]
1961
[311]
웹사이트
ロバート・オッペンハイマー|「科学と人間」の会訳|日本人との対話|ARCHIVE
http://www.project-a[...]
2024-01-27
[312]
Kotobank
2022-12-18
[313]
서적
American Prometheus: The Triumph and Tragedy of J. Robert Oppenheimer.
Alfred A. Knopf
[314]
뉴스
「原爆の父」追放取り消し、68年ぶり 米長官「不公正な手続き」
https://mainichi.jp/[...]
2022-12-18
[315]
웹사이트
「原爆の父」オッペンハイマーは本当に後悔していた? 核開発への情熱から一転、戦後は水爆反対へ、どんな人物だったのか
https://natgeo.nikke[...]
2024-02-19
[316]
웹사이트
「原爆の父」オッペンハイマーは本当に後悔していた? 核開発への情熱から一転、戦後は水爆反対へ、どんな人物だったのか
https://natgeo.nikke[...]
2024-02-19
[317]
웹사이트
オッペンハイマー “涙流し謝った” 通訳証言の映像見つかる 1964年 被爆者と米で面会
https://www3.nhk.or.[...]
原爆
2024-06-20
[318]
비디오
Sting - Russians
https://www.youtube.[...]
A&M Records
2010-04-17
[319]
웹사이트
特集:スティング、「僕らには架け橋が必要なんだ」新作『ザ・ブリッジ』を本人のコメントとともに徹底解説
https://www.cdjourna[...]
CDJournal
2021-11-19
[320]
웹사이트
クリストファー・ノーラン監督作「オッペンハイマー」2024年に日本公開決定 配給はビターズ・エンド : 映画ニュース
https://eiga.com/new[...]
2023-12-12
[321]
웹사이트
クリストファー・ノーラン監督『オッペンハイマー』3月29日公開決定!
https://fansvoice.jp[...]
2024-01-27
[322]
Kinejun
初めか終りか
[323]
서적
Entertainment Awards : A Music, Cinema, Theatre and Broadcasting Guide, 1928 Through 2003
[324]
백과사전
오펜하이머 (Oppenheimer, John R.)
[325]
뉴스
J. Robert Oppenheimer, Atom Bomb Pioneer, Dies
https://timesmachine[...]
1967-02-19
[326]
논문
[327]
논문
[328]
논문
[329]
뉴스
Mrs. J. Robert Oppenheimer, 62, Nuclear Physicist's Widow, Dies
https://www.nytimes.[...]
1972-10-28
[330]
뉴스
Oppenheimer's Legacy on St. John
https://oldtowncrier[...]
2018-01-11
[331]
논문
[332]
웹사이트
Gibney Beach
http://www.stjohnbea[...]
St. John's Beach Guide
2008-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